티스토리 뷰
세금 3.3% 계산 방법
보이스_V 2018. 1. 15. 16:30
보이스 I에서
오늘 준비한 정보는
세금 3.3% 계산 방법 입니다.
성인이되면 직장생활을 하게 되고
매달 월급을 받게 됩니다~
물론 자기 사업을 하는 사람들도 있을꺼구요.
여기서 3.3%를 세금으로 내는 사람들은
직장인 중에서 프리랜서로 일하는 사람들이 속합니다.
직장에 출근해서 일을하게되면
보통 4대보험이 들어가는 근로자로 일하게 되지만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프리랜서 신분으로 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부분들은 이번 포스팅에서 다룰것은 아니라서
여기서 넘어가도록 할께요.
아무튼 프리랜서로 일하는 사람이 월급을 받을때 받는 금액에서
3.3%의 세금을 납부하고 지급받게 됩니다.
간단하게 계산을 해보면
월급 100만원일때 3만3천원은 세금으로 내고
나머지 96만7천원을 월급으로 받게 되는 것 입니다.
더 정확히 말하면 3만원은 소득세 3천원은 지방소득세 입니다.
여기서 지방소득세는 소득세의 10%로 계산되서 3천원이 되는겁니다.
계산방법이랄것도 없죠.
이렇게 납부한 세금으로 5월에 연말정산 신고하고
많이 냈다면 돌려받고 적게 냈다면 더 내게되는 것 입니다.
이제 어떻게 돌아가는지 감이오실꺼에요.
얼마 남지 않았으니 이부분도 잘 알아보고 준비하세요.^^
마지막으로 총정리
3.3% = 3%소득세 + 0.3%지방소득세
받는 월급의 3.3% 납부하면 되겠습니다.
내가 납부하는게 아니고 납부를 하고 주니
어떻게 계산되고 왜 이금액이 들어가는지만 아세요.
보이스 I에서 정리한 오늘의 정보 포스팅 마무리 하겠습니다.